전용태 의원, 전북도 일자리 질 제고, 청년인구 유출에 적극 대응해야
검색 입력폼
 
정치

전용태 의원, 전북도 일자리 질 제고, 청년인구 유출에 적극 대응해야

전북도정, 일자리의 양과 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어
일자리 질적 차이 해소, 고교-대학-일자리 연계 방안 필요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전용태 위원장(진안)
[정보신문 = 김금덕 기자]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인구감소·지방소멸 극복 특별위원회 전용태 위원장(진안)이 지난 20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세미나실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청년인구 유출 원인과 대응 방안 모색에 관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국용 군산대 교수가 발제하고, 전용태 위원장이 좌장을 맡았다. 이어 염영선 의원, 권요안 의원, 김성수 의원, 오은미 의원, 윤정훈 의원, 임종명 의원 등 인구감소·지방소멸 극복 특별위원회 위원들과 이정우 인구청년정책과장 등이 참석하여 대응 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2014년 187만 2천 명의 전북 인구는 2024년에 173만 9천 명으로 13만 3천 명, 7.1% 감소하였는데, 같은 기간 18~39세 청년인구는 51만 명에서 38만 6천 명으로 12만 4천 명, 24.4% 감소하여 청년인구의 감소 규모와 속도가 매우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 처해 있다.

발제를 맡은 이국용 교수는 “18~39세 청년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2013~2023년 전국 전출 사유는 직업 35.95%, 가족 30.29%, 주택 18.94%, 교육 4.73% 순으로 나타났으며, 2001~2023년 유출 지역은 경기, 서울, 충남, 광주, 전남, 대전, 인천 순으로 나타났다”고 언급하며, “일자리의 양보다는 질적 측면에서 미스매치가 발생하여 좋은 일자리가 있는 지역으로 이탈 가속화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질적 차이를 해소와 더불어 고교-대학-일자리가 연계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용태 위원장은 “2017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2018년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그 해부터 전북 인구 185만 명 붕괴와 동시에 썰물 빠지듯 인구가 감소하고 있어 일자리의 양과 질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음에도 전북도정이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라며, “청년인구의 급격한 유출이 초저출산·초고령화 심화와 더불어 지방소멸 가속화로 이어지고 있으므로 주요 원인인 일자리 질을 제고하고 고교-대학-일자리 연계 방안과 관련된 후속 연구 추진, 제도 및 정책 마련 등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