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한 사회 그 디딤돌 , 청렴

서귀포시 표선면 맞춤형복지팀장 오영주

정보신문 jbnews24@naver.com
2025년 05월 05일(월) 13:58
서귀포시 표선면 맞춤형복지팀장 오영주
[정보신문] 우리는 살아오면서 원하건 원치 않건 간에 ‘청렴’이라는 단어를 적잖이 듣는다. ‘청렴한 사회’, ‘부패는 사회악이다’라는 말들이 대표적일 것이다. 그렇다면 왜 청렴해야 하는건지, 그 오래된 가치는 현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무슨 의미를 지니는지 한번쯤 의문을 가져보았으리라 생각이 든다. 청렴의 때묻은 정의보다 청렴이 지향하는 바도 말이다.

‘청렴’은 기원 전 유학의 창시자 공자가 “군자는 청렴하고 소인은 탐욕스럽다”말로 강조했던 가치다. 특히, 그는 ‘지도자가 청렴하면 사람들이 따르고 사회가 안정된다’고 주장했다. 조선시대 실학자 정약용도 ‘목민심서’에서 청렴한 관리의 조건으로 부패하지 않고 공정하게 업무수행하는 것을 들었다.

청렴은 이처럼 오래 전 생겨난 덕목으로 현시대에도 ‘반부패’, ‘사회정의’, ‘공직자 윤리’라는 이름으로 시대를 넘어 강조되고 있다. 오랜 시대변화를 거친 가치로 현시대에서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

언젠가 라디오 방송에서 ‘공정’의 의미에 대해 들었던 적이 있었다. 간결히 소개하면, 경기장 울타리 바깥에 아이 3명이 있었다. 경기장 안을 들여다보던 키가 아주 작은 아이, 중간 정도인 아이, 아주 큰 아이였다. 이 아이들에게 공평하게 디딤상자 2개씩 주어졌다. 아주 키 큰 아이에게는 디딤상자 없이도 그 안이 잘 보였으나, 아주 키 작은 아이는 디딤상자 2개를 딛고도 경기장 안을 볼 수 없었다.

이 3명의 아이들이 서로 양보와 배려를 해서 경기장을 모두 들여다 볼 수 있는 되는 상황, ‘공정’의 의미라고 설명했다. 똑같이 평등하게 나눠주는 것은 ‘공평’에 지나지 않는다. 라고 끝을 맺었다.

우리가 청렴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평등한 사회도 중요하지만 모두가 행복한 공정한 사회가 더 중요하다. 부정부패를 지양하고, 더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또 그런 마음가짐을 잊지 않기 위해서 청렴이 필요한 것은 아닐까?
정보신문 jbnews24@naver.com
이 기사는 정보신문 홈페이지(m.jungbonews.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m.jungbonews.co.kr/article.php?aid=6327859912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6일 02:5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