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 스타트업 센터(GSC)개소1주년 기념행사 개최 글로벌 스타트업 센터 1년, 100개국 7천명 방문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 |
2025년 08월 27일(수) 16:34 |
지난해 7월 문을 연 글로벌 스타트업 센터는 1년간 100여 개국에서 7,000여 명의 글로벌 혁신 창업가들이 방문·이용하는 등 외국인 창업 거점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날 행사는 ▲글로벌 스타트업 오피스(GSO) 현판식 ▲인바운드 정책 성과 및 향후계획 발표 ▲외국인 창업자 커뮤니티 결성식 ▲글로벌 벤처 포럼 등으로 진행되었으며,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을 비롯한 외국인 창업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외국인 창업자를 위한 사무공간인 ‘글로벌 스타트업 오피스(GSO)’도이날 개소했다. 글로벌 스타트업 센터와 인접한 건물에 69석 규모로 마련된 GSO는 국내에 진출한 해외 스타트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는 보금자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기부는 지난 1년간 인바운드 정책 성과를 소개하며, K-스카우터 및 외국인 창업지원사업을 통해 140여 개 해외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유치하여 국내 정착과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 창업생태계 글로벌화를 촉진하고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바운드 정책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① 창업비자 제도 개선
최근 법무부와 협력하여 교수(E-1), 연구원(E-3), 기술지도(E-4), 전문직업(E-5) 등 외국 전문 인력이 사업성·혁신성 평가와 중기부 추천을 거치면 기존 체류자격을 유지한 채 창업활동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중기부는 이를 기반으로 교수·연구원 등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홍보를 강화하고, 정부 지원사업 참여 시 우대하는 등 창업활동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스타트업 코리아 특별비자*의 추천경로를 확대하기 위해 9월부터 지자체와 민간 액셀러레이터(AC)에도 특별비자 추천권을 부여하여 한국 진출을 희망하는 해외 스타트업을 적극 발굴·유치할 계획이다
② 정착 및 성장 지원 강화
수도권에 집중된 해외 스타트업이 지역 산업과 연계해 지역 연구소 등과 협력하며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 인프라를 지역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성공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는 전담 매니저를 매칭하여 투자 유치, 판로개척, 대기업 협업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최초의 외국인 유니콘 기업 탄생을 목표로 하고 있다.
③ 자생적 창업생태계 조성
외국인 창업자들이 상호 교류와 협업을 통해 한국 창업 생태계의 일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외국인 창업자 커뮤니티 결성 및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지원한다. 또한, 민간 주도의 글로벌 벤처 포럼을 통해 국내외 창업기업 및 투자자의 협업 기회를 확대한다.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은 “지난 1년간의 인바운드 정책은 외국인 창업자가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의미 있는 성과였다”며, “앞으로도 전 세계 혁신 인재들이 자유롭게 한국시장에 진출하고, 한국이 글로벌 혁신 창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