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개호 의원, 소아의료 체계 강화는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투자
검색 입력폼
 
정치

이개호 의원, 소아의료 체계 강화는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투자

전남 군 단위 의원급 소아청소년과 없는 지역 15곳, 전국 광역자치도 중 가장 많아, 종합대책 절실
전국 의원 36,000개소 시대, 그러나 ‘소아청소년과 0개소 지자체’ 무려 58곳
전남 군 단위 의원급 소아청소년과 ‘0개소’인 지역 15곳이나

더불어민주당 이개호 의원(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
[정보신문 = 김금덕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개호 의원(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은 28일, 자료를 통해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 수는 3만6천 개소를 넘어서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아이를 돌볼 수 있는 지방의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감소하고 있다”며 소아진료 사각지대 해소에 대한 정부의 종합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2018년 2,221개소에서 2025년 2,187개소로 34개소가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전체 의원은 31,032개소에서 36,520개소로 약 5,488개소(17.7%) 증가했다. 이는 전체 증가 추세와 정반대로, 소아청소년과가 저출산, 낮은 수익성, 전공의 기피 등 구조적 요인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준다.

전국적으로도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0개소’인 기초자치단체가 58곳에 달하며 대다수가 농산어촌 지역이다. 이 지역들은 병원급 의료기관의 소아과 전문의 부재, 대학병원 전원 연계 미흡으로 응급·중증환자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전남의 경우 의원급 소아청소년과가 없는 기초단체 지역이 담양·해남·고흥·곡성 등 15개 지역으로 전국 광역자치도 중에 가장 많다. 영광군의 경우는 2018년까지 한 곳이 있었지만, 폐업 이후 현재까지 재개원이 없는 상태다.

이개호 의원은“지금 농어촌지역은 출산을 장려해도 아이를 진료할 곳이 없는 소아의료 사각지대 상태로 소청과는 낮은 수익성·높은 민원·야간·응급 부담으로 전공의 기피가 극심한 진료과이므로, 특수성을 반영한 인력·시설·행정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또 “농어촌지역은 소청과 전공의 유입률이 0%에 가까워 구조적 의료 사각지대를 극복하기 위한 지방의 특성을 반영한 제도 마련이 절실하다”며 “소아의료체계의 강화는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투자이기 때문에 정부가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도록 촉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전혀 없는 58개 기초단체 현황 ]
▲ 전남 – 담양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해남군,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신안군, 영암군, 완도군, 장흥군, 진도군,
▲ 전북 - 고창군, 무주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 강원 –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 충북 -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 충남 –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 경북 – 고령군, 군위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 경남 –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하동군, 함안군, 합천군
▲ 경기 - 가평군, 연천군
▲ 인천 – 옹진군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