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목포~보성선 철도 27일 개통 전남 남부권 철도시대 개막 |
목포보성선은 임성리역에서 영암역·해남역·강진역·전남장흥역·장동역을 거쳐 신보성역까지 연결되는 총연장 82.5㎞의 단선전철이다. 1조 6천459억 원이 투입돼 2002년 첫 삽을 뜬 지 23년 만에 완공됐다.
기존 철도가 남북축 중심이었다면 목포보성선은 전남 남부권을 횡단한다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차별성을 가진다. 명실상부 남해안 시대를 여는 핵심 SOC로, 전남의 경제와 관광산업의 새로운 전기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개통으로 목포에서 보성까지 이동 시간이 기존 2시간 16분에서 약 1시간 10분대로 단축된다. 광주를 경유하지 않고 직통으로 연결되는 만큼 지역 간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특히 철도 서비스에서 소외됐던 영암, 해남, 강진, 장흥 등 전남 서남권 지역민과 완도, 진도 등 도서·내륙 지역민들도 철도를 이용해 서울과 부산 이동이 가능하게 됐다. 나아가 경전선 보성∼순천 구간 전철화가 완공되면, 목포에서 부산까지 KTX를 타고 2시간 20분대에 이동도 가능해진다.
개통 초기에는 디젤 기관차 기반의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투입되며, 평일(월~목) 왕복 8회, 주말(금~일) 왕복 10회로 운행된다. 새마을호 기준 목포역~신보성역 여객 운임은 8천300원, 무궁화호는 5천600원으로 책정됐다.
목포 보성선은 당초 단선 비전철로 추진됐으나, 2019년 들어 디젤이 아닌 전철이 다닐수 있도록 계획 변경을 추진했다. 그 결과 2019년 비전철 계획이 전철화로 전환돼, 소요 사업비 1천434억 원이 증액·반영돼 지금의 목포보성선이 완성될 수 있었다. 다만 목포보성선과 연결된 경전선 보성~순천 구간이 현재 비전철로 남아있어 개통 초기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 디젤 열차가 운행되고, 일부 역은 무인역으로 운영된다.
이에 전남도는 코레일과 협의를 통해 개통 초기 안정화 기간동안 각 역에 직원을 배치해 주민 편의성을 높이고, 하루 이용객이 200명 이상인 역은 상시 유인화할 계획이다. 또한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열차는 목포보성선 전용으로 리모델링해 쾌적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축제 등 행사 시에는 열차요금 할인 등 혜택도 코레일에서 협의해 검토할 방침이다.
전남도는 승차율 50% 이상 도달시 전동차를 투입하고, 시가지와 거리가 먼 영암, 해남역부터 우선적으로 유인화할 수 있도록 정부에 적극 건의해 나갈 계획이다. 늘어나는 관광객을 고려해 주말에는 2회 이상 관광열차를 추가 운행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목포보성선 개통으로 남부권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과 관광객 편의가 크게 개선되면서 전남 관광산업의 폭발적 성장이 기대된다”며 “전남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핵심 인프라로, 전남 전체의 성장 동력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