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1981년 서귀포시 승격과 함께 3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었던 행정구역을 재통합, 즉 가칭 ‘중문읍’ 설치를 적극 검토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 40년 가까이 3개 행정동으로 나뉜 채 유지되어 오면서 정책 추진의 비효율성과 지역 정체성의 단절이라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도시 구조와 교통·통신의 발달로 지역 공동체가 느슨해진 면이 있지만 중학교, 농협 등 여러 영역에서 아직도 하나의 공동체로 움직이고 있다. 주민들의 일상과 감성, 그리고 행정 수요는 분명히 연계되어 있으며, 행정구역의 분리는 오히려 행정력 분산과 정책 통일성 저해를 초래해 왔다.
이런 점에서 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 체제 개편이 진정으로 지역의 효율성과 정체성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한다면, 가칭‘중문읍’이라는 행정단위의 통합은 우리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제주형 행정 체재 개편이 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것처럼, 역사성과 실질적 수요에 기반한 미래지향적 선택이며, 더 나아가 풀뿌리 주민자치 실현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향후 대천동, 중문동, 예래동의 주민자치위원회와 통장협의회, 자생단체 등이 주체가 되어 ‘중문읍’ 설치라는 공통 의제를 중심으로 토론회, 간담회 등 실질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의견 교류를 넘어, 주민들이 스스로 정책을 제안하고 실현해 나가는 자치의 실천 과정이며, 자치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행정에서도 적극적인 지원과 의견수렴이 병행되어야 한다. 주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통합 행정구역 설치가 반드시 그 결과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위상에 걸맞은 행정 체제 개편이, 지역 공동체의 회복과 주민자치의 성숙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잡는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정보신문 jbnews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