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유재영 |
산업현장에서는 속도가 중요시되고, 생산성이 강조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안전은 뒷전으로 밀리기 쉽다. “이 정도는 괜찮다”, “늘 하던 대로 해”라는 말이 당연하게 통용되면서 현장의 경계는 점점 느슨해진다. 안전수칙은 형식이 되고, 안전교육은 의무적으로만 진행된다. 그 결과, 사고는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도가 없었던 것도 아니다. 보호구 착용 의무화, 정기 안전점검, 중대재해처벌법 등 다양한 제도와 법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아무리 법이 있어도,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산업재해는 제도의 부재보다는, 작동하지 않는 시스템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안전 불감증은 바로 그 틈을 비집고 들어온다.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사고가 날 때마다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내놓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진정한 변화는 '의식'에서 시작된다. 관리자와 노동자, 기업과 정부 모두가 안전을 단순한 절차가 아닌 ‘문화’로 받아들여야 한다. 안전은 누군가의 책임이 아니라 모두의 책임이며, 실천의 영역이어야 한다.
안전의식 회복은 곧 생명 존중의 시작이다. 안전은 비용이 아니라 생명을 지키는 최소한의 조건이다. 현장에서의 실천적인 변화 없이는 아무리 좋은 제도도 효과를 보기 어렵다. 반복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 위험 상황에 대한 민감한 대응, 정부 및 기업, 구성원 모두의 참여가 동반될 때 비로소 산업재해는 줄어들 수 있다.
산업재해를 줄이는 열쇠는 바로 우리 스스로의 ‘안전의식 회복’에 있다. 일상의 경계가 생명을 지킨다. 안전이 곧 생명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정보신문 jbnews24@naver.com